맨위로가기

므스티슬라프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므스티슬라프 2세는 이자슬라프 2세의 아들로, 키예프 대공국의 지배자였다. 그는 여러 차례 군사적 활동을 벌였으며, 1167년 로스티슬라프 1세의 사망 이후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으나, 1169년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에 의해 키예프가 점령당하며 퇴위했다. 이후 잠시 키예프를 재점령하기도 했지만, 1170년 볼로디미르-볼린스키에서 사망했다. 그는 폴란드의 볼레스와프 3세의 딸 아그네스와 결혼하여 세 아들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72년 사망 - 이슈트반 3세
    이슈트반 3세는 1162년부터 1172년까지 헝가리의 국왕이었으며, 삼촌들의 왕위 찬탈 시도와 비잔티움 제국의 침략으로 불안정한 시기를 겪었고, 교회와 갈등을 겪다가 성지 순례 중 급사했다.
  • 볼히니아 이자슬라프가 - 이자슬라프 2세
    이자슬라프 2세는 므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로 페레야슬라우 공작과 투라우 공작을 거쳐 1146년 키예프 대공에 즉위했으나 유리 돌고루키에게 대공위를 빼앗기기도 했으며, 다비드 가문과 동맹을 맺고 올레크 가문과 대립하다가 1154년 사망했다.
  • 볼히니아 이자슬라프가 - 야로슬라프 2세 이자슬라비치
    야로슬라프 2세 이자슬라비치는 이자슬라프 2세의 아들이자 투라우, 노브고로드, 루츠크 공작을 거쳐 1174년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으나 스뱌토슬라프 3세와의 경쟁으로 두 차례 대공 자리에서 물러난 인물이다.
  • 호엔슈타우펜가 - 콘라트 3세
    콘라트 3세는 1138년 로마 왕으로 선출된 호엔슈타우펜 왕가의 첫 번째 독일 왕이었으며, 제2차 십자군에 참여했으나 실패하고 조카 프리드리히 3세를 후계자로 지명한 후 사망했다.
  • 호엔슈타우펜가 - 하인리히 6세
    하인리히 6세는 프리드리히 1세의 아들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시칠리아 왕국의 왕이었으며, 콘스탄차와의 결혼을 통해 시칠리아 왕위를 계승하려 했고,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를 포로로 잡아 권력을 강화하려 했으나 급사하여 제국은 혼란에 빠졌다.
므스티슬라프 2세
기본 정보
므스티슬라프가 1159년에 키예프에 입성하는 모습, [[무시무시한 이반의 삽화 연대기]]의 삽화
므스티슬라프가 1159년에 키예프에 입성하는 모습, 무시무시한 이반의 삽화 연대기의 삽화
원어 이름러시아어: Мстислав Изяславич
우크라이나어: Мстислав Ізяславич
출생대략 1125년
출생지키예프
사망대략 1170년 (44-45세)
종교동방 정교회
통치
작위키예프 대공
첫 번째 통치1158년 12월 22일 – 1159년
이전 통치자이자슬라프 2세
다음 통치자로스티슬라프 1세
두 번째 통치1167년 5월 19일 – 1169년 3월 12일
이전 통치자로스티슬라프 1세
다음 통치자글레프 1세
세 번째 통치1170년 3월 – 1170년 4월
이전 통치자글레프 1세
다음 통치자글레프 1세
가족
왕가류리크
아버지이자슬라프 2세
어머니아그네스 폰 호엔슈타우펜
배우자아그네스 오브 폴란드
자녀로만
스뱌토슬라프 오브 브레스트
프세볼로트 오브 볼히니아

2. 생애

이자슬라프 2세의 아들로 태어난 므스티슬라프 2세는 1153년 쿠만인 군대를 물리치는 등 군사적 능력을 보였다. 1155년 유리 돌고루키폴란드로 몰아내고 키예프 대공국으로 귀환했다. 1167년 로스티슬라프 1세 사후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으나, 1169년 안드레이 돌고루키에게 축출되었다. 이후 폴란드 공작 볼레스와프 3세의 딸 아그네스와 결혼하여 세 아들을 두었다.

2. 1. 초기 생애와 권력 투쟁

이자슬라프 2세의 아들로 태어났다.[2] 출생 연도는 불명확하나, 라브렌티 연대기의 1146년 기사에 처음 등장한다.[3] 1153년 키예프 대공국을 침공한 쿠만인 군대를 물리쳤으나, 프셀 강 전투에서 패배하기도 했다.[2] 1155년 유리 돌고루키폴란드로 망명하도록 압박했지만, 이듬해 므스티슬라프는 새로운 군대를 이끌고 돌아와 볼로디미르-볼린스키에서 돌고루키를 격파했다.[2]

므스티슬라프는 아버지 이자슬라프 2세와 함께 유리 돌고루키 및 체르니고프 공작과의 권력 투쟁에 참여했다.[2] 1148년 페레야슬라프-루스키 공작으로서 유리 돌고루키의 아들 글레프를 격퇴했고,[3] 1151년 헝가리 군대를 이끌었으나 갈리치 공 블라디미르에게 패배했다.[3] 1154년까지 페레야슬라프 공작을 지냈으며,[3] 1157년 유리 돌고루키를 상대로 군대를 이끌었으나, 유리는 키예프에서 사망했다.[3] 1159년 키예프를 점령하고 자신의 삼촌인 로스티슬라프 1세를 대공위에 앉혔다.[3]

1167년 로스티슬라프 1세가 사망하면서 므스티슬라프 2세는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다.[3] 1168년 폴로베츠 원정을 감행했다.[3] 그러나 1169년 안드레이 돌고루키가 키예프를 점령하면서 퇴위하고 블라디미르-볼린스키로 퇴거했다.[2][3] 1170년 짧은 기간 동안 키예프를 다시 점령하기도 했으나, 같은 해 블라디미르-볼린스키에서 사망했다.[3]

2. 2. 키예프 대공 즉위와 실각

이자슬라프 2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1153년 키예프 대공국을 침공한 쿠만인 군대를 물리쳤다. 1155년 유리 돌고루키폴란드로 망명하면서 키예프 대공국으로 귀환했다.[2]

1167년 로스티슬라프 1세가 사망하면서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지만, 1169년 안드레이 돌고루키가 키예프를 점령하면서 퇴위했다.[2]

2. 3. 망명과 죽음

1167년 로스티슬라프 1세가 사망하면서 므스티슬라프 2세는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지만, 1169년 안드레이 돌고루키가 키예프를 점령하면서 쫓겨났다.[2] 그는 폴란드로 망명해야 했다. 므스티슬라프 2세는 폴란드의 볼레스와프 3세 공작의 딸인 아그네스(Agnes)와 결혼하여 슬하에 3명의 아들을 두었다. 1170년 짧은 기간 동안 키예프를 다시 점령하기도 했으나, 같은 해 블라디미르-볼린스키에서 사망했다.

3. 가족 관계

므스티슬라프 2세는 이자슬라프 2세의 아들이었다. 1151년, 폴란드 공작 볼레스와프 3세의 딸인 아그네스와 결혼했다.[4]

므스티슬라프 2세의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이자슬라프 2세
부인아그네스폴란드볼레스와프 3세 공작의 딸


3. 1. 자녀

므스티슬라프 2세는 폴란드볼레스와프 3세 공작의 딸인 아그네스와 결혼했으며 슬하에 3명의 아들을 두었다.[4]

므스티슬라프 2세의 자녀
이름생몰년비고
로만1152년 ~ 1205년노브고로드 공
스뱌토슬라프? ~ ?베레스티 공
브세볼로트? ~ 1196년


참조

[1] 서적 Dynasties of the world: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 서적 Treasure of the Land of Darkness: The Fur Trade and Its Significance for Medieval Rus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3] 간행물 Rus'-Byzantine Princely Marriages in the Eleventh and Twelfth Centuries 1988/1989
[4] 서적 Central Europe in the High Middle Ages: Bohemia, Hungary and Poland, c.900–c.13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